Darae Baek
  • ⚾️
  • Works
    • [개인전]삶을 지탱하는 행위와 삽질 [solo exhibition] Life-sustaining actions and futile attempts: digging (2024)
    • 괴물 투수 디지털 드로잉 시리즈 Monster Pitcher Digital Drawing Series (2024)
    • 괴물 투수 페인팅 시리즈 Monster Pitcher Painting Series (2024)
    • 불안하고 이기적인 땅 The Anxious and Selfish Land (2023)
    • IN AND OUT (2023)
    • 연장전 Overtime (2023)
    • 경계의 풍경: Landscapes of the boundary (2022)
    • 홈런: Home Run (2022)
    • 팽창하는 존재와 장소: The expanding existence and places (2022)
    • 이물질들의 세상으로: Into the world of foreign substance (2022)
    • 내 삶을 소거하는 방법: The way to erase my life
    • 나는 지금 여기(I’m here now)
    • 시각 에너지-영원한 기생을 위하여 ( Visual Energy for Eternal Parasitism)
    • 먼지의 시선(Dust's gaze),2021
    • ​팽창하는 존재 ​The expanding existence (2022)
    • 공상의 느낌 (2021), Ulsan, South Korea
    • 감각의 탄성 (2020), Ulsan, South Korea
    • A STRANGER IN THE ROOM (2020), UNIST, Ulsan
    • ["1989-20xx"]["시선과 가치의 괴물":"The Monster of Attention and Value" ]["2020"] (2020), Ulsan, South Korea
    • 'Language makes me an uncertain person’ (2019)
    • THE TIDE (2018), Space and Scotland
    • CIRCUMSTANCES (2018), Glasgow, Scotland
    • Sound, Sound, Sound (2018), Glasgow, Scotland
    • honestly; a foreign substance in nature (2019),Glasgow, Scotland
    • EXISTENCE (2017), Fukuoka, Japan
    • ANAESTHESIA (2016), South KOREA
    • The Memories (2016), LONDON, UK
  • CV
Picture
  백다래(b.1989) 삶이 존재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증명하는 작업을 하는 영상, 퍼포먼스 설치 예술가이다. 작가는 괴물 투수라는 삶의 공을 생성해 타자에게 던지는 가상의 캐릭터를 통한 투구, 삽질 등의 퍼포먼스를 영상으로 기록해 삶을 버티는 감각을 포착한다. 최근 작업에서 작가는 개인의 존재를 정의하고 구성하는 것(이름, 성별, 가족 등)과 거시적인 문제(환경, 전쟁, 혐오범죄) 사이의 흐름과 연결성을 탐구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이런 문제들이 개인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민한다.
 작가 노트
​
  
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삶의 감각을 시각화한다. 개인의 내면과 사회적 현실이 만나는 지점에 관심을 가지고,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묘한 정서와 움직임을 기록하고자 한다. 영상 속 반복되는 신체의 움직임은 도시의 번잡함과 폐허의 고요함처럼 끊임없이 변하는 삶의 배경 위에서도 변함없이 지속된다. 이러한 행위는 우리가 삶 속에서 수없이 겪는 균열과 회복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작업 속 등장하는 ‘괴물 투수’는 삶을 상징하는 가상의 존재로, 삶의 공을 생성해 던지거나 허공이나 바닷물을 향해 무의미한 삽질을 반복한다. 그가 던지는 공은 인생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날아드는 무게이자 과제이며, 평생 함께 살아내야 할 어떤 동반자이다. 투구는 삶과의 끝나지 않는 대화를 상기시키고, 삽질은 멈출 수 없는 생의 관성이나 멈춰서는 안 된다는 다짐처럼 다가온다. 

​  괴물 
투수는 우리를 시험하거나 심판하기 위해 존재하지 않는다. 어쩌면 우리가 기억하지 못한 사이에 끊임없이 무언가를 던지고 있는 또 다른 나의 모습일지 모른다. 그는 종종 예측 불가능한 변화구를 던지고, 우리는 그 공을 능숙하게 받아내지 못한 채 휘청이며 어설픈 타자로서 삶을 살아간다. 하지만 이 반복된 투구 속에서 우리는 조금씩 대응에 익숙해지고, 시간이 흐르면서 서툰 타격조차 자연스럽게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게 된다.

  삶은 완벽히 예측될 수 없다. 능숙한 타자조차 때로는 실수하며, 괴물 투수는 언제나 인간의 계산을 벗어난 변칙적인 궤적으로 공을 던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그 불확실함과 끊임없이 충돌하면서도 작업을 이어간다. 괴물 투수가 던진 공을 받고, 다시 그것을 던지는 행위를 반복하며 우리 모두가 공유하는 생존의 흔적을 포착하려 한다. 이러한 작업은 결국 삶의 무게를 함께 안고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감정과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담아내는 시도이다.
  Darae Baek (b.1989) is a video, performance, and installation artist who creates works that visually prove the existence of life. The artist captures the sensation of enduring life by performing actions such as pitching and digging through a fictional character, Monster Pitcher, who generates a metaphorical "ball of life" and throws it to others. In recent works, Baek focuses on exploring the flow and connection between personal identities, such as name, gender, and family and larger-scale issues such as the environment, war, and hate crimes, reflecting on how these global issues affect an individual's life.​
Artist Statement

I visualise the intangible sensations of life—those subtle emotions and movements that emerge at the intersection between one’s internal psyche and external social reality. My work seeks to document these ephemeral tensions, where the noise of urban existence meets the stillness of dereliction. Within this ever-shifting backdrop, the body repeats small gestures—rhythmic, persistent—becoming a visual rhythm of rupture and repair.

At the centre of my recent work stands a fictional character: the "Monster Pitcher." This entity symbolises life itself—tirelessly throwing balls, or digging into empty air and seawater with futile repetition. These thrown balls are metaphors for the burdens, challenges, and companionships of existence—inescapable tasks that demand lifelong engagement. The act of pitching recalls an ongoing dialogue with life, while the digging gestures echo the inertia of survival or a stubborn resolve to keep going.

In Korean culture, the term '삽질' (pronounced 'sap-jil') is a colloquial expression that refers to repetitive or futile labour—often used metaphorically to describe efforts that feel endless, unrecognised, or emotionally exhausting. I embrace this act not as failure, but as a way of enduring. In my work, ‘shovelling’ becomes a symbolic gesture of emotional resilience and persistence in the face of uncertainty.

The Monster Pitcher does not exist to judge or punish. Rather, it may well be a forgotten fragment of the self—a version of ‘me’ endlessly casting challenges into the void. Sometimes, the ball curves unpredictably, and we, as batters of life, stumble and misstrike. Yet through repetition, we learn to respond with growing resilience. Even clumsy swings, in time, become part of our natural rhythm.

Life resists prediction. Even the most skilled batter errs. The Monster Pitcher disrupts logic with uncanny trajectories. But I continue to make work through this unpredictability—responding to each pitch, throwing it back in return, capturing the traces of survival we all share. These gestures become a visual language—a collective expression of endurance, vulnerability, and hope embedded within the weight of living.
​
  • ⚾️
  • Works
    • [개인전]삶을 지탱하는 행위와 삽질 [solo exhibition] Life-sustaining actions and futile attempts: digging (2024)
    • 괴물 투수 디지털 드로잉 시리즈 Monster Pitcher Digital Drawing Series (2024)
    • 괴물 투수 페인팅 시리즈 Monster Pitcher Painting Series (2024)
    • 불안하고 이기적인 땅 The Anxious and Selfish Land (2023)
    • IN AND OUT (2023)
    • 연장전 Overtime (2023)
    • 경계의 풍경: Landscapes of the boundary (2022)
    • 홈런: Home Run (2022)
    • 팽창하는 존재와 장소: The expanding existence and places (2022)
    • 이물질들의 세상으로: Into the world of foreign substance (2022)
    • 내 삶을 소거하는 방법: The way to erase my life
    • 나는 지금 여기(I’m here now)
    • 시각 에너지-영원한 기생을 위하여 ( Visual Energy for Eternal Parasitism)
    • 먼지의 시선(Dust's gaze),2021
    • ​팽창하는 존재 ​The expanding existence (2022)
    • 공상의 느낌 (2021), Ulsan, South Korea
    • 감각의 탄성 (2020), Ulsan, South Korea
    • A STRANGER IN THE ROOM (2020), UNIST, Ulsan
    • ["1989-20xx"]["시선과 가치의 괴물":"The Monster of Attention and Value" ]["2020"] (2020), Ulsan, South Korea
    • 'Language makes me an uncertain person’ (2019)
    • THE TIDE (2018), Space and Scotland
    • CIRCUMSTANCES (2018), Glasgow, Scotland
    • Sound, Sound, Sound (2018), Glasgow, Scotland
    • honestly; a foreign substance in nature (2019),Glasgow, Scotland
    • EXISTENCE (2017), Fukuoka, Japan
    • ANAESTHESIA (2016), South KOREA
    • The Memories (2016), LONDON, UK
  • C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