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RAE BAEK
  • 2022
  • Theatre
    • 경계의 풍경: Landscapes of the boundary (2022)
    • 홈런: Home Run (2022)
    • 팽창하는 존재와 장소: The expanding existence and places (2022)
    • 이물질들의 세상으로: Into the world of foreign substance (2022)
    • 내 삶을 소거하는 방법: The way to erase my life
    • 나는 지금 여기(I’m here now)
    • 시각 에너지-영원한 기생을 위하여 ( Visual Energy for Eternal Parasitism)
    • 먼지의 시선(Dust's gaze),2021
    • ​팽창하는 존재 ​The expanding existence (2022)
    • 공상의 느낌 (2021), Ulsan, South Korea
    • 감각의 탄성 (2020), Ulsan, South Korea
    • A STRANGER IN THE ROOM (2020), UNIST
    • ["1989-20xx"]["시선과 가치의 괴물":"The Monster of Attention and Value" ]["2020"] (2020), Ulsan, South Korea
    • 'Language makes me an uncertain person’ (2019)
    • honestly; a foreign substance in nature (2019),Glasgow, Scotland
    • THE TIDE (2018), Space and Scotland
    • Sound, Sound, Sound (2018), Glasgow, Scotland
    • CIRCUMSTANCES (2018), Glasgow, Scotland
    • EXISTENCE (2017), Fukuoka, Japan
    • ANAESTHESIA (2016), South KOREA
    • The Memories (2016), LONDON, UK
  • Contact & CV
  The Memories (2016), UK, Video: 00:21:53
MONDAY: If I were to put out a fire of memories (2016), Video: 00:01:41
WEDNESDAY: Days of remembrance in the memory warehouse of the head (2016), Video, 00:03:07
​MONDAY: 만약 내가 기억의 불을 끄려고 한다면. (2016)

 
 만약 기억이라는 것에 생명이 존재한다면 그 기억은 어떤 형상을 가지고 있을까? 
 
 둥근 유리 어항을 쓴 인물이 촛불의 불을 끄려 하는 행위가 반복되는 이 비디오는 기억 시리즈 비디오의 맨 처음 순간 이면서 기억이라는 행위의 첫 시작을 보여주고 있다. 사람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과거의 기억을 회상하고 현재의 순간을 다시 축적하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하게 된다. 
 
 하지만 만약 기억을 축적하는 것은 그 인물 스스로라고 하여도 그 속에 축적된 기억이 더는 인물 자신이 조절할 수 없는 새로운 존재가 된다면 그 기억은 어떤 모습을 가지고 있을까? 그 기억의 존재가 인물의 머릿속에 살아있으며, 그 스스로가 자신의 존재를 밖으로 나타내겠다고 결심하는 순간 기억의 주체였던 인물은 그 기억의 움직임을 내 의지로 멈출 수 있는 것일까? 난 여기서 인물이 자신을 존재를 드러내는 행위가 기억이 인물에게 타의 적으로 시작되는 순간이라고 생각했다. 
 
 이 비디오에서 나오는 촛불은 기억이라는 존재의 모습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기억은 자신의 촛불을 밝히면서 자신을 존재를 나타내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런 기억의 불빛은 어항을 쓰고 있는 인물과 같은 화면에 등장하지만, 인간의 생명의 상징인 그 숨결과는 닿을 수 없다. 인물이 쓰고 있는 투명한 둥근 어항은 인물과 밖의 불빛 사이에 거리감을 제공하면서 화면 속 인물과 배경을 기묘하게 단절시켜주는 중요한 매개체이다. 
 
 어항 속 인물에게 저 불빛은 예상치 못했던 기억의 습격이자 눈앞에 보지만 직접 닿고 끌 수 없는 약간은 불편한 존재이다. 
MONDAY: If I were to put out a fire of memories (2016) 
 
 If the memory were a living creature, would it have any shape? 
 
 The repetitive action of a figure with a fishbowl on her head trying to blow out a candle is the first scene of the Memories series video, and this shows the first action of memory. A human’s life is also full of repetitive actions, of looking back over the past and, at the same time, accumulating current memories. 
 
 But what if a human ended up not being able to handle a memory once the human has decided to collect that memory? What if the memory itself is a living creature and decides to declare itself, to expose itself to the outside? Can a human, who is the host of this memor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emory? I thought that this is the very first moment of memory confronting the real person, just as a figure from memory exposes its existence. 
 
 The candle in this video shows one aspect of the existence of memory. The memory lights a candle by itself to show its existence. And the flame of memory appears in the same scene as the figure with a fishbowl on her head; however, it cannot be reached with human breath, which implies and represents the symbol of human life. The fishbowl, which covers the figure’s head, is a significant medium that curiously cuts off the figure from the surroundings by providing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figure and the light outside. 
 
 The existence of light to the figure with fishbowl could be a little uncomfortable as it was unexpected. 
For full video please contact ​​
Copyright 2017. DARAE BAEK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 2022
  • Theatre
    • 경계의 풍경: Landscapes of the boundary (2022)
    • 홈런: Home Run (2022)
    • 팽창하는 존재와 장소: The expanding existence and places (2022)
    • 이물질들의 세상으로: Into the world of foreign substance (2022)
    • 내 삶을 소거하는 방법: The way to erase my life
    • 나는 지금 여기(I’m here now)
    • 시각 에너지-영원한 기생을 위하여 ( Visual Energy for Eternal Parasitism)
    • 먼지의 시선(Dust's gaze),2021
    • ​팽창하는 존재 ​The expanding existence (2022)
    • 공상의 느낌 (2021), Ulsan, South Korea
    • 감각의 탄성 (2020), Ulsan, South Korea
    • A STRANGER IN THE ROOM (2020), UNIST
    • ["1989-20xx"]["시선과 가치의 괴물":"The Monster of Attention and Value" ]["2020"] (2020), Ulsan, South Korea
    • 'Language makes me an uncertain person’ (2019)
    • honestly; a foreign substance in nature (2019),Glasgow, Scotland
    • THE TIDE (2018), Space and Scotland
    • Sound, Sound, Sound (2018), Glasgow, Scotland
    • CIRCUMSTANCES (2018), Glasgow, Scotland
    • EXISTENCE (2017), Fukuoka, Japan
    • ANAESTHESIA (2016), South KOREA
    • The Memories (2016), LONDON, UK
  • Contact & CV